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농지연금 예시사례

by pharmco 2025. 4. 11.
반응형

 

✅ 농지연금 예시 사례 10가지


① 70세 A씨 / 공시지가 2억 원 / 종신정액형

  • 상황: 경기도 안성에서 30년째 농사를 짓고 있는 단독 소유 농지 보유자
  • 선택 방식: 종신정액형
  • 수령액: 월 약 100만 원
  • 특이사항: 배우자 68세로 연금 승계 신청함. 농지 일부는 자녀에게 임대 중

② 66세 B씨 / 감정가 3.5억 원 / 전후후박형

  • 상황: 충북 옥천의 논 6,000㎡ 보유, 농사 은퇴 예정
  • 선택 방식: 전후후박형 (초기 10년간 고액 수령)
  • 수령액: 월 약 140만 원(초기), 이후 100만 원
  • 특이사항: 초기 자금 확보를 통해 귀촌 창업 자금으로 사용 예정

③ 72세 C씨 / 공시지가 1.5억 원 / 수시인출형

  • 상황: 강원도 홍천의 고령 독거 노인, 병원비 등 급전이 필요
  • 선택 방식: 수시인출형
  • 수령액: 월 60만 원 + 필요 시 최대 4,500만 원 한도 내 인출
  • 특이사항: 수시로 인출해 병원비 및 생계비로 사용

④ 63세 D씨 / 감정가 2.8억 원 / 기간정액형(10년)

  • 상황: 부부 은퇴 예정, 연금 수령을 통한 정기 소득 확보 원함
  • 선택 방식: 10년 기간정액형
  • 수령액: 월 약 130만 원
  • 특이사항: 연금 종료 후 농지는 자녀에게 상속 예정

 

 

 

 


⑤ 75세 E씨 / 공시지가 1억 원 / 경영이양형(5년)

  • 상황: 5년 후 완전 은퇴 예정. 이후 농지를 처분해 부담 없이 마무리 계획
  • 선택 방식: 경영이양형
  • 수령액: 월 약 120만 원 (더 높은 수령 가능)
  • 특이사항: 지급 종료 후 공사에 농지를 매도하며 채무 정산

⑥ 68세 F씨 / 감정가 3억 원 / 은퇴직불형(6년)

  • 상황: 경작 중단, 농지를 임대 중인 상태
  • 선택 방식: 은퇴직불형
  • 수령액: 월 연금 + 임대료 + 은퇴직불금 = 총 월 160만 원 수준
  • 특이사항: 은퇴직불 신청과 연계되어 안정적 수익 확보

⑦ 62세 G씨 / 감정가 2억 원 / 종신정액형 + 저소득층 우대

  • 상황: 생계급여 수급자로 고정 소득 부족
  • 선택 방식: 종신정액형 + 지급우대방식
  • 수령액: 월 약 90만 원 + 10% 우대 지급 = 월 99만 원
  • 특이사항: 생활비로 활용, 의료비 보조

⑧ 80세 H씨 / 공시지가 4억 원 / 은퇴직불형(10년)

  • 상황: 고령 농업인, 자녀와 별거 중, 소득 없음
  • 선택 방식: 은퇴직불형(최대 가능 기간)
  • 수령액: 월 180만 원 수준 (임대료, 직불금 포함)
  • 특이사항: 향후 농지를 매도하여 자녀에게 현금 상속 계획

⑨ 65세 I씨 / 감정가 2.5억 원 / 기간정액형(15년)

  • 상황: 부부가 귀농 후 정기 소득 필요
  • 선택 방식: 15년 기간정액형
  • 수령액: 월 약 110만 원
  • 특이사항: 연금 외 별도 사업소득 없음, 연금이 주 수입원

⑩ 60세 J씨 / 공시지가 1.2억 원 / 종신정액형 + 장기영농 우대

  • 상황: 40년 영농 경력, 단독 소유
  • 선택 방식: 종신정액형 + 장기영농 우대 (5%)
  • 수령액: 월 80만 원 + 5% 우대 = 약 84만 원
  • 특이사항: 배우자 승계 조건 포함하여 안정적 소득 확보

 

 

반응형